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역량 있는 전문가 양성!

아동청소년교육학과

전공과목해설

과목코드 과목명 내용
BCC10117 영유아발달

Young Children Development

인간에 대한 이해는 생애초기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한다. 태아기부터 영아기, 걸음마기 아동의 발달을 뇌 발달, 인지와 언어, 정서와 사회성, 신체발달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연령별 최적 발달을 지원해주는 환경 구성과 교사 및 성인의 역할을 배운다.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s to understand human development.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principles, and theories of brain development, cognition and language, sociality and emotion, physical and exercise development from the fetal period to toddler. Students will discuss the suitable environment and teacher's role for infant and toddler.

BCC10216 보육학개론

Introduction to Child care and Education

우리 학과의 공부는 아동보육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아동보육의 역사를 시대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보육 사상과 이론, 내용과 방법 및 교사와 기관에 이르기까지 아동보육과 관련된 제반사항을 개략적으로 배운다.

The goal of this course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is course covers various child care and education areas such as historical overview, philosophical backgrounds, the basic theor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ologies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contents related to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BCC10316 아동국악실습

Practice in Korean Music for Children

한국음악은 우리 민족의 정서가 담긴 생활 예술 문화이다. 가장 한국적인 국악을 즐기고 사랑할 줄 알며, 국악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국악 기초 이론과 기본적인 악기 연주 역량을 키운다.

Traditional Korean music is a living art culture, imbued with the feelings and emotion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is class we will come to know how to enjoy and love Korea’s most traditional instruments and music. As well a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lso in order to one day be able to teach children, we will learn the fundamental theory of tradition music in Korea. As well as cultivate a basic competence in performing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BCC10416 불교아동청소년교육학전공진로탐색

Job Survey in Buddhistic Children and Adolescents Education

아동청소년교육학과는 영유아 보육과 교육 분야는 물론, 아동 및 청소년 지도와 상담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분야를 탐색해보고, 선택한 직업에서의 성공방법을 모색해본다.

The major in child and adolescents education provides the students with various work opportunities associated with child care education areas and child studies as well as adolescent counseling and guidance. This course examines student' s job survey based on student's aptitude and the ways to lead to success in her career.

BCC10525 청소년문화

Culture & Adolescent Development

청소년과 청소년문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친구, 사이버, 성, 소비, 여가 등 청소년의 다양한 하위문화 관련 이론과 실태, 정책적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청소년지도사가 되기 위한 연습을 한다.

Building on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nd their culture, this course explores theories, real-world contexts, and policy issues related to various adolescent subcultures, including school, friendships, cyberspace, sexuality, consumer behavior, and leisure. Through this comprehensive study of adolescent culture, students will develop the skills and insights necessary to become effective leaders for adolescents.

BCC20118 언어지도

Language A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기의 지적발달의 기초가 되는 언어발달의 이론적 분석과 유아기 언어교육의 목적, 내용구성, 평가 등을 다루며 언어교육 프로그램, 언어교육자료를 분석하고 언어교육 방법의 실제를 연구한다.

Primary focus on those aspects of the language arts program development, its contents analysis and assessment are the concern in the developmental language arts program

BCC20215 놀이지도

Play Instruction

영유아기 아동들에게 놀이는 일상 그 자체이며 가장 좋은 학습방법이기도 하다. 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연령에 적합한 구체적인 놀이지도 방안을 탐구하고 배운다.

Play is everyday life itself and the best way to learn for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value of play and a developmental stage, students learn and do research the way to arrange specific plan according to children's age.

BCC20325 상담이론과 실제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효과적인 상담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아동의 부적응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상담 및 치료 이론들을 배우고, 실제 상담에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익힌다.

Effective counseling requir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is course covers various of counseling and therapeutic theories and practical counseling strategies dealing with children's maladjustment problems.

BCC20425 청소년문제와보호

Youth Issues and Protection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청소년기의 확대에 따른 각종 청소년 문제의 유형과 원인을 파악, 분석하여 바람직한 청소년육성과 적절한 보호활동 방안을 탐색한다. 특히, 청소년문제와 보호에 대한 이론과 청소년문제행동의 원인 및 실태를 파악해 바람직한 청소년육성과 적절한 보호활동을 위한 대책과 예방법을 학습한다.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and the extended phase of adolescence, this course examines and analyzes the types and causes of various youth issues to explore effective approaches for positive youth development and appropriate protection measures. Specifically, it delves into the theories of youth problems and protection, investigates the causes and current status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equips students with strategies and preventive measures to promote healthy youth development and ensure proper safeguarding practices.

BCC20515 보육과정

Curriculum in Child care and Education

보육과정은 인생의 첫 단계를 위한 교육과정이다. 영유아 보육의 특성과 다양한 보육프로그램을 검토하고, 연령에 적합한 보육목표, 내용, 방법 및 활동 계획안 작성 등을 다룬다.

Children's education & care curriculum is a curriculum for the first stage of the life. This course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education & care curriculum and program and treats the goals of learning, suitable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ctivity planning for each age level.

BCC20616 아동미술

Art for Children

아동들에게 미술활동은 즐거움 그 자체이고 생활의 일부분이다. 미술활동의 가치와 그림 발달단계, 아동미술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교수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발달 단계에 적합한 미술 교육방법을 탐색하고 익힌다.

Art activity is enjoyment itself for children and part of their lif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s of art activity, stages of art development, the aims and contents of art activity and the teaching method, students explore and train appropriate art instructional method according to the stages of development.

BCC20715 아동안전관리

Child safety

어린이집에서 아동의 건강과 안전은 교사가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아동의 성장과정에 따른 건강과 영양 관리, 각종 질병의 예방과 진단, 간호와 응급조치 및 안전교육 등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실행 방법을 몸에 익힌다.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young children's teacher is to consider children's health and safety. This course covers the contents on children's health, nutrition the prevention and diagnosis of children's disease, nursing, emergency care and children's safety education and this course also helps students' to get trained in such educational practices.

BCC20815 불교어린이법회지도법

Buddhistic Practice for Children

어린이법회는 불교와 아동,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된 교육 현장이다. 재미있고 유익한 사찰 어린이법회 프로그램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진행 방법 등을 연구하고 배운다.

Research and practice for developing interesting and beneficial kids Buddhist education with reference to research on the impact of such programs.

BCC20925 청소년상담

Adolescent Counseling

청소년기는 급격한 심신의 변화로 인해 매우 불안정한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방황과 갈등, 문제행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토대로, 최적의 상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The adolescent period is a very unstable stage due to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This course discusses various ways for students to implement counseling strategies through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struggles, emotional conflicts and behavior problems.

BCC21025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불교와 예술의 창의적 융합지도법

A Creative Convergence Guidance Method of Buddhism and Art for Children and Youth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불교와 예술의 창의적 융합지도법’교과목은 불교 철학과 예술을 결합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창의적인 사고와 감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지도자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불교의 재미있는 철학을 배우고,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시간 속에서 불교의 기본 가르침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고, 문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이를 표현하고, 마음 챙김과 정서적 성장을 지원하며, 사회적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창의적 활동을 제공하기 위한 창의적 융합지도법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었다.

The course, "Creative Convergence Guidance Method of Buddhism and 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grates Buddhist philosophy and art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in fostering creativ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n engaging exploration of Buddhist philosophy, creating opportunities for mindfulness and emotional healing while making foundational Buddhist teachings accessible. Through various artistic activities, such as literature, visual arts, and music, participants express and internalize these teachings, supporting emotional growth and mindfulness. Additionally, the course offers creative activities that encourage social value experiences and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innovation.

BCC30118 아동권리와복지

Child Right and Welfare

아동복지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아동 자신은 물론 가족 및 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한 성장발달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복지적 요건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이를 실행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The importance of child welfare has increased. This course teaches the key concepts in child welfare for promoting children's development not just as an individual but as a family and social member and also motivates students to put them into practice.

BCC30218 아동문학교육

Children

문학작품은 아동들에게 큰 즐거움을 줌과 동시에 생활의 길잡이가 된다. 아동문학의 가치를 알고, 문학작품을 즐기며, 다양한 아동문학 매체를 비교,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풍부하고 질 높은 언어적, 문학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안목과 역량을 키운다.

Literature provides children with a great pleasure and has much effect on their lives. This course value of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picture books. This course will helps students to acquire the insight and capability to provide abundant and fine linguistic environment for children through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present methods of children's literature.

BCC30425 청소년지도방법론

Youth Guidance Methodology

청소년지도 및 방법의 기초적 이해를 기반으로 대상별, 활동유형별, 지역사회연계 등 다양한 지도방법을 학습해 현장에서 지도할 때 필요한 실부기술을 실습하고 연구한다.

Building on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youth guidance and methods, students will learn various approaches to guidance, including those tailored to specific target groups, activity types, and community-based connections. They will practice and study practical skills essential for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field.

BCC30518 특수아동이해

Understanding of Exceptional Children

특수아동의 개별화교육 및 통합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영재 아동을 포함하여 장애아동 및 장애위험 아동의 장애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별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 적합한 교육지도 방법을 익힌다.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zed and inclusive education for exceptional children is more widely recognized than ever. In this course, we are suppo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and at-risk children their types so that we can learn and provide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way of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cluding gifted children.

BCC30618 아동과학지도

Science Education for Children

영유아는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관찰과 탐구하는 것을 즐긴다. 영유아기 아동들의 과학적 개념과 지식 형성에 관한 제반 이론을 바탕으로, 발달 단계에 적합한 과학 활동과 교수방법을 탐색하고 익힌다.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like to observe and explore with the interest and curiosity. Based on various theories o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concepts and knowledge formation, you explore and learn science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developmental stages.

BCC30725 청소년활동

Activities for Adolescents

청소년활동은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청소년 활동과 관련된 전문지식과 실천적 기술을 함영한다. 특히,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실천전략을 익히고, 다양한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을 배우고 실습한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활동의 법적, 제도적 기반 및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내용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활동과 관련된 이론과 실제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청소년의 능동적의 참여와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Activities for Adolescents focus on developing the specialized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essential f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Students will explore the concepts and practical strategies of youth activities while studying and practicing various youth activity programs. Additionally, the course cover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youth activities and topics related to community engagement. Through this, students will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youth activities and will be equipped to support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holistic growth of young people.

BCC30818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Child Observation and Research in Behavior

교사는 관찰을 통하여 아동의 흥미와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대응을 해 줄 수가 있다. 실제 보육현장에 나가서 아동을 관찰하고, 관찰한 행동을 연구하는 실습을 하여, 민감하고 적절한 반응을 해 줄 수 있는 기량을 익힌다.

Teachers become aware of children's interest and demand through observation and then take appropriate actions against children based on the aware of that. For practical experience, students observe children, conduct research and cultivate abilities to properly and sensibly respond to children in child care centre or kindergarten.

BCC30918 보육교사론

Teach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영유아기 아동 보육에는 보호와 양육 및 교육적 요소가 모두 포함된다. 보육교사의 자질과 직무 및 역할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좋은 교사, 훌륭한 교사, 능력 있는 교사의 특성과 이미지를 탐구하여, 보육 교사가 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The fundamental concept of children's education & care is an integration of care, raise and education. This course treats the characteristics, duties and roles of the children's teacher. And helps future children's teachers to establish their self identity through a study about the images of good, excellent, competent teacher.

BCC31018 불교아동교육종합설계

Capstone Design of Buddhistic Child Education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을 이해하고, 연령별 보육목표와 내용을 근거로 영유아의 흥미와 욕구 및 발달에 적합한 놀이중심 통합보육계획을 수립하고 적용한 교수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깊이 있는 이해와 토론의 과정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보육과정 운영 및 교수 방법을 모색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수업시연을 통해 예비교사로서의 능력을 키우고, 보육교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Understand th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and establish and apply a play-centered integrated child care plan that is suitable for the interests, needs,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child care goals and content by age. Through a process of in-depth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seek more efficient child care curriculum operation and teaching methods, and develop abilities as a prospective teacher through class demonstrations that can be applied on site, and cultivate qualities as a child care teacher.

BCC31125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

Youth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이해와 개발과정, 평가와 관련한 실제적 기술을 학습하여 청소년 활동, 복지, 보호 등의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청소년 전문가로서의 전문 역량과 기술을 함양하여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활동을 개발, 적용,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urse aims to develop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youth program development, including its process and evaluation, while acquiring practical skills to effectively apply these in areas such as youth activities, welfare, and protection. This course cultivates professional expertise, enabling youth specialist to design, implement, and evaluate diverse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and perspectives of young people.

BCC40218 보육실습

Practice in Child care and Education

교사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지식과 함께 실행능력을 갖추어야한다. 1,2,3학년 과정에서 배우고 익힌 학습내용을 실제 보육현장에 적용해보는 기회를 통하여 능력있는 보육교사가 되기 위한 연습을 한다.

Competent teacher needs high level knowledge and practice ability. This cour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apply the theories and methods learned in the process of course work into the child education and care field. This practicum would be a help to become a prepared professional teacher.

BCC40418 영유아교수방법론

Teaching Methods for Early Education

유아를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들을 소개하고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증진하는 구체적인 교육방법이나 기술을 습득한다.

Introduce to the various teaching-learning processes for young children and learn how to teach young children according to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ing skills to improv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CC40618 심리측정 몇 평가

Psychometric Assessment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상담과 교육 및 치료에 필수적이다. 아동의 필요와 요구에 부응하는 최적의 진단과 판단 및 조치를 실행 할 수 있도록, 심리측정과 평가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심리 검사와 평가 방법을 익힌다.

Understanding of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an effective children counseling, education and therapy. This course teaches various theorie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related to children's psychological need.

BCC40718 어린이집 운영관리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in Child Care Settings

어린이집에서 영유아기 아동들에게 질 높은 보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관을 잘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관 운영의 중심과제인 교직원 인사, 시설과 설비, 행‧재정, 보육과정 등에 관한 최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여 효율적인 어린이집 운영관리 전략을 습득한다.

In order to provide high-quality care to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in a nursery, it is important to operate and manage the institution well. By combining the latest theory and practice on teaching staff personnel matters, facilities and equipment, administration and finance, childcare curriculum etc., which are the central tasks for institution operation, you can acquire the effective nursery oper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BCC40818 부모교육

Parental Education

현대사회에서의 부모됨됨이나 부모역할에 대한 관점이 변화함에 따라 부모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새로운 시각으로 부모교육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개인별 주제 보고서 작성과 발표 및 함께 토론한다.

As the perspectives on parenthood and parental roles change in modern society, the perspectives on parent education are also changing. Therefore, in this course, we will learn about the theory and practice of parent education necessary to implement parent education with a new perspective in accordance with these chang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write and present individual topic reports and discuss them together.

BCC40918 불교아동청소년교육취업세미나

Job Seminar in Buddhistic Child and Adolescent Education

대학의 전공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취업에서의 성공은 대학생활의 마침표와 같다. 이 과목은 불교아동청소년교육을 전공한 학생들이 취업/진학에 성공할 수 있도록 맞춤식 전략을 구축하여 최적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희망하는 기관에 취업/진학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위한 과목이다.

Success in major-based employment is a very crucial part in campus life. .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employed at one of the best work-places or move on to further study. For this goal every student in Buddhistic children and adolescents education is respectively trained for optimal preparation through most appropriate strategies.

BCC41025 청소년기관현장실습

Adolescents Institution Field Training

학교에서 강의와 이론을 통해 배운 지식을 기반으로 청소년 기관 현장에서 직접 체험하면서 청소년지도사 로서의 전문적인 자질과 역량을 키운다.

Building on the knowledge acquired through lectures and theoretical studies at school, students gain hands-on experience at youth institution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skills and competencies as youth leaders.

BCC41125 명상과아동청소년교육

Contemplative Educ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아동·청소년 교육, 상담, 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현장에서 아동·청소년을 지도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성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갈등과 사회·정서적 문제를 파악하고, 명상적 접근법을 학습하고 적용하여 아동·청소년의 전인적 발달과 성장을 도모하는 방법을 익힌다.

Students interested in child and adolescent education, counseling, and research, as well as those aspiring to guid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field, will identify psychological conflicts and social-emotional challenges that may emerge during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They will learn and apply contemplative approaches to support the whole-child development and healthy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CC41225 청소년육성제도론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Youth Development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법적 지원과 정책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청소년 육성방안을 모색한다.

The course examines various legal supports and policies aimed at youth, and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ir development.

ERC30318 불교아동논리 및 논술

Logics and Essay for Buddhistic Child Education

보육현장의 공식적인 의사소통은 주로 글과 문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아동 보육 관련 글을 분석적, 비판적으로 읽고, 주어진 주제(아동학대, 다문화교육, 환경교육, 양성평등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구조화시켜 논리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연습을 한다.

Formal communication in child care field is made by text and document. This cours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ad papers about child care and education(ex, child abuse,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gender equality) in analytical and critical point of view, and to practice the logical writing.

ERC30417 불교아동교육론

Theory of Buddhistic Child Education

아동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철학적, 불교적 관점과 함께 살펴보고, 아동중심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육방법을 배우고 익힌다. 모의수업을 통하여 전공 이론을 토대로 다양한 교과목을 가르치는 방법을 학습한다.

This course trains students to acquire appropriate methods to implement child-centered education in terms of Buddhistic philosophy on child.. The student, pre-service teacher learns how to instruct various kinds of subjects throuth Teaching Demonstration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al theories.

ERC30517 불교아동교재연구및지도법

Educational Material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Buddhist Childhood Education

교육의 필수적 요소인 교육 매체와 교수법에 대한 수업으로 교육/보육 활동 전개에 필요한 교재와 교구의 특성과 활용 방법을 배우고, 실제로 제작하여 교육 시연을 통해 적용해 보면서 유치원/어린이집 현장실습을 대비하여 교수 역량을 키운다.

This course aims to learn about educational material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Buddhist Childhood Education. This course explores different kinds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and various ways to implement these in the preschool/kindergarten classroom settings. By learning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and by practicing instructional methods with the materials, student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ir ability to pedagogically implement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in classroom settings and achieve effective teaching competency.